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물리치료
- 우세눈
- 축구
- 만랩라떼
- 마산 #해양신도시 #신마산
- 마산
- 깊은목굽힘근
- 골드망고그릴
- 구부정한 앉기 자세
- 균형
- sternum
- 마산뷰카페
- cerebral palsy
- 뇌성마비
- 벚꽃
- 보이타
- 커피는 나의 힘
- 보이타 치료
- 만랩커피 마산수정점
- sacrum
- 창원
- slump position
- 저긴장
- 진주 벚꽃
- slump sitting
- 비우세눈
- trunk stability
- 세부시터
- optimal sitting
- 정적균형
- Today
- Total
마음이 사무치면 꽃이 핀다
보이타 치료 본문
보이타 치료의 원리
1) 신체 자세와 자세반응성의 자동적 조종(automatic control of body posture and postural reactibility)
2) 정립기전(uprighting mechanism)
3) 위상성 동작들(phasic movement)
보이타 치료의 반사적 뒤집기, 반사적 기기에는 다음과 같은 세 원리가 포함돼 있다.
특히 정립기전은 반사적 기기에서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반사적 기기는 엎드려서 (prone position) 시작하는 방법으로, 자극점을 자극하여 일정한 반응을 이끌어낸다.
반사적 기기에서 주된 자극점은 얼굴쪽 medial epicondyle과 후두쪽 calcaneus이다.
이 두 점을 자극하게 되면 근육의 활성화를 거쳐 상체의 근육들은medial epicondyle방향으로 수축하게 되고, 하체의 근육들은 calcaneus방향으로 수축하게 된다. 이때 shouler joint와 hip joint에서 정립이 나타나게 된다.
얼굴쪽 팔에서 medial epicondyle을 자극함으로써 활성화되는 근육들
- scapular area
lower trapezius, serratus anterior, rhomboid muscle 의 수축 --> 이 근육들의 작용으로 인해 scapular를 고정시키게 된다.
-shoulder joint
deltoid posterior part, triceps brachii, teres major, latissimus dorsi(transversus)의 수축
이 근육들의 작용은 shoulder extension을 유발하게 되지만, medial epicondyle의 자극을 통해 근육의 등척성 수축을 유도하게 되고, 팔꿈치는 고정점으로 작용하여 근육의 수축방향이 elbow로 향하게 된다.
또한 pectoralis major와 coracobrachialis, subscapularis의 수축은 항중력으로 작용하여 견갑대의 정립을 만들어준다.
pectoralis major가 단순히 shoulder adduction과 internal rotation작용만 한다면 지양해야겠지만,
기시에서 정지 방향으로 작용한다면 pectoralis major의 작용은 움직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정상발달에서 정립은 엎드려서 고개들고 유지기라는 과정을 거쳐야지만 완성되는 과정이다. 이 정립이 잘 되려면 head control을 잘 할 수 있어야 하고, 즉 목의 앞부분에 위치한 심부근육인 lonngus colli, longus capitis가 잘 작용해야 된다. hip joint의 정립 역시 네발기기를 통해서 얻어지는 과정이다. 그러나 뇌손상이나 어떠한 이유로 인해 발달이 지연된다면 이러한 과정들이 어렵게 되고, 정립과정이 나타나지 않는다.